전체 글31 [실천 Tip] 사춘기 아이와 대화하는 법 사춘기 시기에 달라지는 아이들 작년 코로나 사태로 온라인 수업이 본격화되면서 아이들의 생활 패턴에 큰 변화가 생겼다. 예전에는 크게 관심이 없었던 컴퓨터와 한 몸이 되어버린 것이다. 온라인 수업 중이고 마이크 켜야 하니 방문을 닫겠다고 이야기하고는 쉬는 시간이 되어도 나오지를 않는다. 엄마들은 아이들의 일과 시간에 맞추어 점심을 차린다. 아이들의 학교 급(초/중/고)이 다를 경우 서로 다른 점심시간으로 인해 아이들마다 밥을 달리 차려줘야 한다. 급식이 사라진 아이들의 생활 관리만으로도 벅찬데 아이들의 온라인 학습관리와 사춘기 케어까지 정말 쉬운 일이 아니다. 큰 아이의 사춘기를 2년 전 마감하고 작년에는 코로나와 함께 둘째 아이의 사춘기를 맞이했다. 개인적으로는 사춘기는 끝나도 끝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고.. 2021. 4. 17. [책 나눔] 엄마의 말공부 - 사춘기 아이와 대화하는 법 '공부' 말만 해도 짜증 내는 아이 공부하려고 했는데 엄마 때문에 하기 싫어요! 초등학생에서 중학생이 되면서 갑자기 변하는 아이들의 행동과 말투에 당황한 경험들은 부모라면 누구나 있을 것이다. 책을 읽다 보면 우리 아이가 많이 하는 말들이 예시로 상당히 빈번하게 등장한다. 어느 집이나 흔하게 겪는 어려움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몇 가지 사례들을 살펴보면서 어떻게 대처하고 이야기하는 것이 바람직한 행동을 이끌어낼 수 있을지 알아보자. 엄마의 말도 아이가 성장하는 만큼 자라나야 한다. 어릴 때는 마음도 많이 헤아려주고 생각도 물어봐주곤 했던 것 같은데, 아이들이 성장하면서 입시에 가까워질수록 부모들의 마음도 조급해지기 마련이다. 해야 할 것은 점점 많고, 시간이 부족하다고 느끼면서 서로의 생각과 일상을 나누.. 2021. 3. 31. [심리학] 인지 부조화 - 사람들을 소비하게 만드는 핵심 메커니즘 인지 부조화란? 인지 부조화는 1950년대 중반, 심리학자 레온 페스팅거(Leon Festinger)가 정립한 이론이다. 사람들은 스스로의 믿음과 다른 생동을 하거나 상반되는 두 개의 믿음을 가지게 된 경우, 혹은 자신이 가지고 있던 믿음과 불일치하는 새로운 정보를 얻게 된 경우 불편한 감정을 느끼게 된다. 사람들은 그들의 생각과 행동이 일치하기를 바라기 때문에 자신의 믿음과 행동 중 하나를 바꾸어 이 둘이 모순되지 않고 일치된 상태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한다는 것이다. 인간은 자신의 삶이 부조리하지 않다고 스스로 설득하면서 생을 보내는 동물이다. - 알베르 카뮈(Albert Camus) 인지 부조화는 사람이 생각하고 행동하는 많은 것과 관련이 있다. 아이들이 자신은 공부를 잘하는 학생이라고 생각하는데 시.. 2021. 3. 30. [심리학] 지불의 투명성 - 현금을 쓰면 정말 덜 소비하게 될까? 자산 및 금융 상담을 받아본 사람들은 신용카드 구매 대신 매주 현금을 찾아 일별 혹은 주별 지출을 하라는 조언을 들어봤을 것이다. 신용카드를 최소한으로 유지하고 나머지는 현금을 쓰라고 조언한다. 실제로 돈이 지갑을 떠나는 것을 보면 소비를 덜 하게 된다는 것이다. 일부 연구에서 밝혀진 것처럼 이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현금을 사용하는 것 자체가 중요한 것은 아니다. 중요한 것은 지불의 투명성이다. 지불의 투명성이 줄어들수록 더욱 많이 소비하게 된다. 지불의 투명성은 지불이 얼마나 실재적인가를 의미한다. 지불이 좀 더 실재적이고 유형의 것일수록 그것이 더 투명하다고 할 수 있다. 다양한 지불 방식이 가진 특징들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현금 - 현금은 매우 실재적이다. 우리는 그것을 만질 수 있고 또 주머.. 2021. 3. 29.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